2022. 9. 29. 01:16ㆍ책 정리 [ 내가 다시 보기위한 ]/책[자바의 정석] 정리
2.1 기본형 변수
기본형 변수에는 모두 8개의 타입(자료형)이 있다.
1 byte | 2 byte | 4byte | 8 byte | |
논리형 | boolean | |||
문자형 | char | |||
정수형 | byte | short | int (기본형) | long |
실수형 | float | double (기본형) |
* 논리형을 제외한 나머지 7개 타입은 서로 변환이 가능, 연산도 가능
* 문자형 char는 문자를 내부적으로 정수값 코드로 저장
* 왠만해선 int 와 float를 사용 하자
자료형 | 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 | 크기 | |
bit | byte | ||
byte | -128~127 (-2^7 ~ 2^7-1) | 8 | 1 |
short | -32,768~32,767 (-2^15~2^15-1) | 16 | 2 |
int | -2^31~ 2^31-1 | 32 | 4 |
long | -2^63~2^63-1 | 64 | 8 |
int 형은 2^32개 , 대략 10자리 수의 값을 저장 할 수 있다. -1~-2^31, 0, 1~2^32-1 을 합하면 2^32개 이다.
2.2 논리형 boolean
기본값 false
2.3 문자형 char
C언어에서 문자형의 경우 1byte( ASCII 코드), java에서는 유니코드 문자체계 사용하므로 2byte
A -> 10진수로 65
char 형 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부호없는 정수의 형태로 저장 된다. 문자 'A' 의 유니코드인 65가 저장된다.
char 형 변수는 단 하나의 문자밖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문자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String 클래스를 사용 해야 한다.
2.4 정수형 -byte, short, int, long
* long 타입의 리터럴에는 접미사 l 또는 L을 붙인다. 리터럴에 접미사가 붙어있지 않으면 int 타입으로 간주.(기본형이 int 이므로)
* 리터럴 - 값 or 데이터 라고 생각하면 됨
* 정수형 변수는 자신이 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최소값부터 다시 반복한다.
만약 270을 세라고 한다면
0,1,2,3,,,,,,,126,127,-128,-127,-126,,,,,,-1,0,1,,,,,13,14
2.5 실수형 - float, double
* float 타입의 리터럴에는 접미사 f 또는 F 을 붙인다. 리터럴에 접미사가 붙어있지 않으면 double 타입으로 간주. (기본형이 double 이므로)
3. 형변환
3.1 형변환 이란? 변수 또는 리터럴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 하는 것
3.2 형변환 방법 - 기본형은 기본형으로만, 참조형은 참조형으로만 형변환이 가능하다.
int score = (int)85.4 // double형 값을 int형으로 변환하여 score에 85가 저장됨
// 반올림하는게 아니라 그냥 소숫점 아래가 잘리는 것임
3.3 기본형의 형변환
*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의 변환은 값의 손실이 없으므로 캐스트 연산자 생략해도 됨
* 큰 자료형에서 작은 자료형으로 변환은 값이 손실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캐스트 연산자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형변환 하자.
* 같은 크기 일지라도 실수형이 정수형보다 더 큰 표현볌위를 갖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할 것.
'책 정리 [ 내가 다시 보기위한 ] > 책[자바의 정석]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의 정석 Chap2 변수(Variable) (0) | 2022.09.28 |
---|---|
자바의 정석 chap1 자바를 시작하기 전에 (0) | 2022.09.28 |
자바의 정석 책을 정리하며 (0) | 2022.09.28 |